hardware2 기계어 및 어셈블리어 실행 과정 이해 가상 프로세서(16-bit M/C)에서, 산술연산 A+B=C 와 C*B=A를 순차적으로수행하는 기계어 및 어셈블리 프로그램 작성한 후, 이의 실행 과정(Fetch -> Decode -> Execute 사이클 포함)을 컴퓨터 하드웨어와 연관지어 설명하기. - 데이터 A,B,C는 각각 주기억장치 주소 FA,EB,DC에 있음. - 레지스터 : R1,R2,R3 총 3개만을 사용, 곱하기 명령어(MUL) Opcode : 14(10진수) 기계어는 연산자와 피연산자로 구성이 되어있다. 주어진 과제는 16bit-M/C이므로, 4비트 연산자와 12비트 피연산자로 작성한다. 데이터 A,B,C가 각각 주기억장치 주소 FA,EB,DC에 있는 것 확인. ---------덧셈과정---------- (기계어) (어셈블리) ① 00.. 개발정보/HardwareDesign 2020. 11. 22. 하드디스크의 용량(Capacitor) 구하기 하드디스크는 디스크를 회전시키면서 그 위에 자료를 읽거나 기록하기 위한 보조기억장치다. 여러 개 원판이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레코드판처럼 겹쳐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단위면적당 자기 밀도에 의해 하드디스크 용량이 결정된다. 하드 디스크 용량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. Capacity = (바이트/섹터)*(섹터/트랙의 평균)*(트랙/표면)*(표면/플래터)*(플래터/디스크) 이와 같은 공식이 나오는 이유는 하나의 디스크 안에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플래터(원판)가 장착되어있고, 하나의 플래터는 수많은 트랙으로 나뉘기 때문이다. 또 트랙은 수많은 섹터로 나누어지기 때문이다. 아래의 내용은 각 항별 공식의 의미를 정리한 내용이다. ①(바이트/섹터) → 섹터하나에 얼마나 저장하는가? ②(섹터/트랙의 평균) → .. 개발정보/HardwareDesign 2020. 11. 22. 이전 1 다음